광주광역시 전문상담교사 전직 채용 폐지 국회청원 시작

18일부터 광주광역시교육청 전문상담교사 전직 채용 폐지 국회청원이 시작됐으며, 5만 명 동의를 목표로 한다. 청원 동의 마감일은 다음 달 17일까지다. 
18일부터 광주광역시교육청 전문상담교사 전직 채용 폐지 국회청원이 시작됐으며, 5만 명 동의를 목표로 한다. 청원 동의 마감일은 다음 달 17일까지다. 

최근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공립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3명을 현직 초등교사 중 전직으로 선발하겠다는 공고를 낸 가운데, 전교조 전문상담교사 특별위원회는 "광주교육청의 전직 추진은 '전문상담'이라는 상담교사의 전문 영역을 '생활지도' 업무와 동일시하는 편협한 인식"이라며 전직 채용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전교조 전문상담교사 특위는 "광주교육청의 이번 전직 전형 기준은 전문상담교사를 뽑는 기준이 아닌, 학생부장 뽑는 기준"이라며 1차 서면심사 기준(60점)의  ‘생활교육 및 상담 관련’ 연구, 컨설팅, 연수 실적과 ‘생활교육 관련 업무’ 담당 경력, ‘담임교사 근무 경력’은 모든 교사에게 요구되는 보편적 역량이지 전문상담교사의 핵심 역량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위는 "생활지도 경력이 많다고 해서 임상적 판단과 위기 중재 능력이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라며 "광주교육청은 Wee클래스의 언어와 교실의 언어가 다름을, 의사 자격을 간호사 경력으로 대체하지 않듯 전문상담교사에게도 고유한 전문성이 필요함을 명백히 간과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특위는 광주교육청이 몇 달 전 공고한 '중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충원 계획'에서 ‘진로진학 관련 업무 경력’, ‘진로진학 관련 연구 실적’, ‘진로진학 관련 직무연수’, ‘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증’ 등 철저히 ‘진로’ 분야의 현재 역량과 검증된 실적을 기준으로 삼고 있고, 대학원에서 관련 자격증을 이미 취득했거나 취득 예정인 교사를 명시적으로 우대하고 있다며 진로전담교사의 전직전형기준과 전문상담교사의 전직전형기준이 다른 점을 지적했다. 진로전담교사는 '현재의 검증된 역량'을 기준으로 하지만, 전문상담교사는 '생활지도 경력'과 '담보되지 않은 미래의 잠재력'을 기준으로 선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특위는 "이번 전직 추진은 가장 손쉽게 인력을 충원하려는 TO메우기 식 꼼수"라며 "전문성 검증 절차를 생략한 채 이루어지는 ‘땜질식’ 인력 충원은 결국 그 피해를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전가하는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18일부터 광주광역시교육청 전문상담교사 전직 채용 폐지 국회청원이 시작됐으며, 5만 명 동의를 목표로 한다. 청원 동의 마감일은 다음 달 17일까지다. 

SNS 기사보내기

교육언론[창]은 권력과 자본의 간섭을 받지 않고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참되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월 1만 원의 후원으로 더 좋은 교육세상, 더 힘 있는 교육언론을 만들어 주세요.

기사제보
저작권자 © 교육언론[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